티스토리 뷰
일자리를 구할때 가장 먼저 보는 사항이 무엇인가요? 저같은 경우는 연봉이나 월급을 가장 먼저 확인합니다. 일을 하는데 있어서 보람도 중요하지만 보수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저와 같은 생각을 가지고 계신분들이 꽤 많이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연봉 또는 월급이 얼마라고 표시가 되어있다고 하더라도 세전인지 세후인지도 따져보는 것이 중요한데요 그래서 오늘은 여러분들에게 세후 월급 계산 해보는 방법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인쿠르트나 커리어넷과 같은 사이트에서도 연봉계산기를 이용할 수 있는것으로 알고있는데요 이번시간에는 사람인 취업사이트를 활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인터넷 검색창에 사람인을 검색하시면 해당 홈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으며 페이지 내의 검색창에 [연봉계산기] 라고 치시면 바로가기를 통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입력해야하는 공간은 좌측에 있는데요 여러분들의 희망 또는 현재 받고있는 급여를 적어주시면 됩니다. 연봉이나 월급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퇴직금같은 경우 연봉으로 계산했을때만 포함되는 사항입니다.
비과세액은 말그대로 세금계산에서 제외되는 항목으로 예를들어 식비가 있습니다. 그 외에 부양가족수와 자녀수를 작성한다음 계산하기 버튼을 눌러주시면 되겠습니다.
저도 임의로 조건을 한번 입력해보았습니다. 월급으로 계산을 해볼텐데요 한달에 받는 급여가 세금을 포함하여 220만원이라고 가정하고 비과세액은 10만원으로 가정했습니다. 또한 부양가족수는 본인을 포함하여 1명, 자녀수는 없다고 해놓고 세후 월급 계산 결과를 확인해보았는데요
세금을 포함하여 월급 220만원이라고 하면 4대보험료와 세금을 제외하고 대략 200만원정도 받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공제액에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 고용보험,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가 포함됩니다. 이제 여러분들의 급여에 대해서도 직접 세후 월급 계산을 해보시기 바랍니다.